DNS(도메인네임서비스)
[DNS(도메인네임서비스)]
: Domain Name Service: 계층 구조로 구성된 컴퓨터 및 네트워크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
- DNS는 인터넷 이름 스키마를 토대로 생성
- DNS는 영문자 및 숫자를 이용한 이름으로 자원에 대한 접근 허용
- InterNIC는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관리를 책임
[NETBIOS]: 네트워크 상에서 구별되는 단일 컴퓨터
[도메인네임스페이스]
[DNS 자원 레코드 종류]
[DNS Query]
DNS 서버에 이름확인 요청 방법
- 쿼리는 recursive or iterative 로 구분
- DNS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쿼리를 교환
- 네임 스페이스를 위한 권한이 있는 DNS 서버와 권한이 없는 DNS 서버로 구분
- 네임 스페이스를 위한 권한이 있는 DNS 서버: 요청된 IP 주소를 응답
- 네임 스페이스를 위한 권한이 없는 DNS 서버: 캐시정보확인 / 전달자 이용 / Root hints 이용
[Root hints]
DNS 루트 서버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
[Recursive(재귀쿼리)]
로컬 DNS 서버에 쿼리를 보내 완성된 답을 요청하는 작업
[Iterative(반복쿼리)]
Local DNS 서버가 다른 DNS 서버에게 쿼리를 보내어 답을 요청하는 작업
[전달자]
외부 DNS 이름에 대한 DNS 쿼리를 외부 DNS 서버에 전달
[정 방향 조회 영역과 역 방향 조회영역]
[DNS 서비스 모니터링 및 트러블 슈팅]
A. DNS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
- nslookup: 쿼리를 이용한 DNS 문제 해결
- dnscmd: DNS 설정 수정
- dnslint: 공통된 DNS 문제 진단
B. DNS 이벤트 로그와 디버그 로깅을 통하여 DNS 모니터링
- 이벤트로그로 확인 가능한 DNS 이벤트
: 영역 전송 정보 모니터링 / 컴퓨터 이벤트 모니터링
- DNS 디버그 로깅을 사용하면 DNS 활동의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